지금으로부터 몇 년전 쯤인가. 나와 10여년이 된 친구 M은 갑작스레 인도로 두 달 정도 여행을 갔다온 적이 있었다. 나도 그 때 그 M과 함께 인도에 가보고 싶었으나 아직 난 졸업을 위해 봐야 할 시험이 몇 개 더 있었고, 취업 준비에 바빴으며, 학기 중 펑크낸 학점을 메우기 위해 계절 수업을 들어야 했고, 등록금을 마련해야 했으므로 가질 못했다. 당시에 주로 내 일과는 이랬다. 새벽 6시에 일어나 차가운 물로 눈꼽을 데고, 솔이 다 풀어진 칫솔로 이를 닦은 다음, 티셔츠를 뒤집어 입고 지하철을 두시간 타고 학교에 가서 고전 9시에 있는 3시간 짜리 강의를 듣고, 다시 지하철을 타고 돌아와 영어 공부와 졸업시험 공부를 하고, 오후 4시쯤엔 밤 12시까지 편의점에 서서 담배 박스 옆의 바코드를 쉴 새 없..
이렇게 주로 흐린 날에 글을 쓰게 되는거 같다. 사실 전 글은 문장들이 몹시 마음에 들지 않는다. 문장들이 따로 놀고 통일감이 없어 보이는 증상은 점점 더 심해지는 것 같다. 어제 따라놓고 마시지 않은 길다란 종이컵에 있는 커피를 마셨다. 어제든 오늘이든 맛은 여전히 쓰다. 뇌가 뒤죽박죽 망가지기 전에는 이렇게 흐린 날을 좋아했었다. 눈부신 빛과, 살 갗을 지지는 듯한 태양빛의 열기는 별로 유쾌하지 못했다. 그렇지만 이렇게 흐린날에 몸이 아파오고, 정신이 우울해지는 것을 견딜 수 없는 지금은 그저 구름 한점 없이 맑은 날이 제일 좋을 따름이다. 그저 날씨가 흐리다고 사람의 기분이 나빠지고 우울해지고 생각보다 난 더 연약한 생물이었구나. 이런 날은 그냥 선풍기를 틀어놓고 적당히 얇은 이불안에서 아무것도 하..
전화번호부를 이리저리 뒤적여보지만, 도통 전화를 걸어볼 사람은 보이질 않는다. 원래 그런 것이다. 전화하고, 누군가와 대화를 하고, 약속을 하고, 만나고 싶은 날엔 도통 연락할 사람도 만날 사람도 떠오르질 않는다. 외로움은 그 자체로 하나의 현상이지 문제는 아니다. 만약 문제였더라면 분명히 해결방법이 있었을텐데, 적어도 지금의 내 외로움엔 그 어떤 해결책도 없어보인다. 외롭지만 역설적으로 누구와도 만나고 싶지 않다. 누군가를 만난다고 해서 이 현상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난 밖으로 나선다. 누군가와 만난다는 약속이 있는 것도 아니지만, 적어도 북적거리는 사람 가운데에선 외로움이란 간혹 희석되기 마련이다.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도 꽤 많았지만. 거리는 그다지 변한 게 없다. 항상 다니던 그 길은 ..